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
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(R-ONE)

부동산통계정보

전월대비 변동률(%)전년말대비 변동률(%)

전국지가변동률조사

  • 전월대비 변동률(%)
    '23.10 0.158
  • 전년말대비 변동률(%)
    '23.10 0.516

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

  • 매매
    '23.10 0.2
    '23.10 -3.49
  • 전세
    '23.10 0.36
    '23.10 -5.44
  • 월세
    '23.10 0.14
    '23.10 -1.06

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

  • 공동주택 매매
    '23.09 0.59
    '23.09 4.81
  • 아파트 매매
    '23.09 0.67
    '23.09 5.74
  • 아파트 전세
    '23.08 1.33
    '23.08 0.54

SCROLL DOWN

통계설명/일정 서브페이지 이미지

통계설명/일정

부동산통계정보OPENCLOSE

  • 통계설명/일정
  • 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
  • 5.기타

5.기타

기타

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 기타

지수비교

월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 비교 (주택가격동향조사, 아파트 매매/전세 실거래가격지수)
구분 공동주택실거래가격지수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 월간
개념
  • 실제 거래된 아파트 매매/전세가격의 움직임 측정
  • 전국 주택시장의 평균적인 가격변화를 측정
성격
  • 실제 매매거래 및 전세계약 자료를 활용한 확정치
  • 적시성 확보되는 속보·잠정치
가중치
  • 반복매매쌍의 거래건수
  • 재고주택수
지수산정 방법
  • 매매: 「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률」제3조에 의거 매매계약을 체결한 뒤, 관할 시·군·구청장에게 신고한 실제 아파트 및 연립·다세대 거래가격 자료 활용
  • 전세: 「주택임대차보호법」의 보호를 받기 위해 신고되는 확정일자 신고자료(지자체 및 대법원) 중 아파트 전세 계약 자료 활용
  • 전체 주택 중 표본설계에 의해 선정된 표본조사
통계유형 신고된 실거래가격을 활용한 ‘가공통계’ 실거래에 기반한 전문조사자
가격산정방식의 ‘조사통계’
공표단위 전국 및 광역자치단체 단위
17개 시도(서울은 5개 권역별)
아파트: 187개 시군구(78시, 8군, 101구)
연립 및 단독주택: 17개 시도 및 생활권역
작성시작 매매: ‘06년 1월
전세: ‘14년 1월
‘86년 1월(지수작성 기준)
기준시점 2017.11=100 월간: 2021.6=100
주간: 2021.6.28=100
공표주기 및 시차
  • 매월 15일
  • 매매거래 신고 및 전·월세 확정일자 신고 중 익월까지 신고건을 이용하여 일정기간 시차 (매매) 1.5개월, (전세) 2.5개월 발생
월간: 매월 (익월 15일) 발표
주간: 매주 목요일
장점
  • 실제 거래사례 반영한 시장체감 지수
  • 가격등락시 즉시적인 변동성
  • 보다 신속한 시장동향 파악
  • 거래사례의 사정, 특성(층,향) 등 반영
단점
  • 신고일(매매거래/확정일자 신고)과 계약일간의 시차발생으로 적시성의 한계(공표일까지 (매매) 1.5개월, (전세) 2.5개월 시차)
  • 거래량 적은 시기 및 지역의 지수 불안정
  • 조사시점에서 계약일로부터 신고일까지
    시차(최대60일)로 실거래 활용의 한계
  • 모집단 변화 적시 반영 못하거나 부적정 표본으로 인한 표본오차
  • 비표본오차로 조사자 정박효과**등 편의(bias)로 평활화될 가능성

이용시 유의점

지수와 증감률은 소수점이하 12자리까지 작성되며, 지면표기상 제약으로 인해 지수는 소수점 이하 1자리, 증감률은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만 표기

연락처

  • 정책문의

  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(☎ 044-201-3329, http://www.molit.go.kr )

  • 통계문의

    한국부동산원 부동산분석처 시장분석부 (☎ 053-663-8717, 8567)

해외사례

기타참고자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