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5분위 평균주택가격
주택가격을 가격 순으로 5등분한 5개 분위별 평균 주택 가격
-
주택가격 5분위 배율
주택가격 상위 20% 평균(5분위 가격)을 주택가격 하위20% 평균(1분위 가격)으로 나눈 값이며, 고가주택과 저가 주택 간의 가격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
-
연소득대비 주택 가격 비율 (PIR:Price to Income Ratio)
연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인 PIR은 주택 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주택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배수이며,몇 년치 소득을 저축해야만 대출을 받지 않고 자력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음
-
주택구매력지수(HAI:Housing Affordability Index)
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정도의 주택을 구입한다고 가정할 때,현재의 소득으로 대출 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
HAI가 100보다 크면 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간가격 정도의 주택을 큰 무리 없이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,HAI가 상승하면 주택구매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냄
-
중위주택가격
중위가격은 중앙가격이라고도 하며 주택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때 중앙에 위치하는가격을의미
-
단독주택
원칙적으로 1가구만이 단독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건축된 독립주택
-
다가구주택
다세대주택처럼 여러 세대가 독립적으로 거주할 수 있으나 현행법상 세대구분 등기가 불가능한 일종의 단독주택
-
다세대주택
1동당 건물면적이 660제곱미터 이하이며 2세대 이상 거주할 수있는 주택으로 보통 지하1층, 지상3층 이하로 되어 있고 지하도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으며, 다가구주택과 다른 점은 구분등기가 가능
-
연립주택
대지,복도,계단 및 설비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건축물 안에 각 가구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4층 이하의 공동주택
-
아파트
5개 층 이상의 공동주택